날씨가 추워져서 그런지 뜨끈한 국물이 생각나는 요즘입니다. 그래서 모처럼 오랜만에 국을 끓여보았습니다.
여름에는 가스불을 켜는거조차 생각하기도 싫을만큼 너무 더워서 한동안 끓이지 않았던 국물요리인데 말인데, 추운 날씨에는 뜨끈한 국물이 절로 생각이 납니다.
국 중에서 가장 끓이기 쉬운 소고기 무국을 끓여봅니다. 사실은 집에 바람들기 직전인 처치곤란한 무가 있어 피클을 만들까 하다가, 오늘 우연히 냉동실을 정리하다 한쪽 구석에서 얼려놓았던 소고기를 발견하고는 바로 무 없애기, 아니 국 만들기를 시작해 봅니다.
참고로 무는 소화불량 및 위산과다에 좋고, 소화를 촉진시켜주는 효과가 있으며, 많은 비타민과 다양한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어서 건강에 좋다고 합니다.
무의 알싸하게 매운 맛은 다이어트에도 도움이 된다고 하던데, 정말인지 너무 궁금합니다.
오늘의 요리도 저의 아니 우리의 요리 스승님인 백주부님의 집밥 백선생 레시피를 따라해 봅니다.
본격적인 요리를 시작하기 전, 냉동실에서 꺼낸 소고기를 해동 시킬 겸 찬물에 담궈 핏물까지 빼주기를 시작합니다. 그리고는 그 사이에 무를 썰어 준비해 둡니다. 저는 제 취향에 맞춰서 무를 얇게 썰어 준비를 하였습니다. 그리고 기타 재료로는 다진 마늘, 국간장, 참기름, 소금, 후추, 다진 파를 한쪽에 준비해 둡니다.
국에 들어갈 재료들의 손질이 끝났으면, 이제 소고기 무국 만들기를 본격적으로 시작해 봅니다.
먼저 냄비에 핏물을 뺀 소고기를 넣고, 참기름을 살짝 넣어 달달 볶아줍니다. 고기가 살짝 익으면, 썰어놓은 무를 넣고 같이 볶아줍니다. 이렇게 소고기와 무를 같이 볶아주는 이유는 이렇게 하면 무에 고기의 향이 베어 더 깊은 맛이 난다고 합니다.
이 둘을 어느 정도 잘 볶아 준 후에는 물을 넣고 끓여줍니다. 국을 끓이는 것이니 물을 넉넉히 넣어야겠죠?
국이 끓기 시작하면, 다진 마늘 반 숟가락을 넣어주고, 국의 색을 내기 위해 국간장을 넣은 후, 소금으로 간을 해 줍니다. 그리고 이때에 후추를 넣어주면, 좀 더 풍미있는 맛을 낼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저는 집에 통후추밖에 없으므로 생략을 하였습니다.
간을 맞춘 국에 미리 준비해 두었던 다진 파를 넣고 다시 한소끔 끓여내면 완성입니다.
소고기 무국은 난이도 별 한개가 아닐까 싶습니다. 쉽게 만들 수 있으니, 추운 겨울 날에 따끈한 국에 밥 한그릇으로 든든하게 드시고, 우리 모두 추위를 이겨봅시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갤럭시 S9+ 강화유리 박살(그래도 액정은 무사.....ㅠ) (0) | 2018.09.15 |
---|---|
실업급여 신청 (ft. 알바 안할껄...) (0) | 2018.08.24 |
감기에 좋은 생강물 & 생강차 만드는 법 (0) | 2016.12.13 |
[청주 맛집] 이종구 항아리 짬뽕 (0) | 2016.11.11 |
강원도 원대리 자작나무 숲으로 가을 여행 (0) | 2016.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