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양시에 위치한 서오릉은 2009년 6월 26일 스페인 세비야에서 열린 제 33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유네스코 세계유산(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유네스코는 서오릉, 서삼릉을 비롯한 조선왕릉이 유교적, 풍수적 전통을 근간으로 한 독특한 건축과 조경양식으로 세계유산적 가치가 충분히 인정되며 지금까지 제례의식 등 무형의 유산을 통해 역사적인 전통이 이어져 오고 있는 점, 조선왕릉 전체가 통합적으로 보존관리되고 있는 점 등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되기에 손색이 없다고 평가했다고 합니다. 또한 한 문화재 한 지킴이, 전주이씨대동종악원 등과 같은 사회, 지역 공동체의 참여에 의한 보존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고 합니다.

서오릉이란 조선왕조의 다섯 능 즉 덕종과 소혜왕후의 능인 경릉, 예종과 계비 안순왕후의 능인 창릉, 숙종의 원비인 인경왕후의 능인 익릉, 숙종과 인현왕후, 인원왕후의 능인 명릉, 정성와후의 능인 홍릉이 모여 있어서 일컫는 명칭입니다. 서오릉 지역이 왕실 묘역으로 선택된 이유는 세조 3년에 세자 덕종이 사망하자, 풍수지리설에 의해 경릉을 쓰고부터라고 합니다. 서오릉에는 이 5개의 능 외에도 조선왕조 최초의 '원'으로 명종의 첫째 아들인 순회세자의 무덤인 순창원과 숙종의 추궁으로 많은 역사적 일화를 남긴 희빈 장씨의 대빈묘가 있습니다. 서오릉은 구리시의 동구릉 다음으로 큰 면적의 조선왕조 왕실의 가족무덤이며 고양시청에서 서울시 은평구 갈현동으로 이어진 55번 지방도로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1457년 세조는 원자였던 덕종이 죽자 길지를 물색케하였고, 서오릉터가 길지로 간택되자 세조가 직접 답사하여 경릉터로 정하여 서오릉의 조성이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경릉은 세조 때부터 시행된 동원이강식의 쌍릉입니다. 특이한 점은 보편적인 왕릉 조성과는 달리 왕은 오른쪽, 왕비는 왼쪽에 봉분이 조성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또한 왕비의 능이 왕의 능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화려하여 왕과 왕비의 능을 혼동하게 할 여지가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조성된 원인은 덕종은 예종의 형으로서 사망 당시 왕이 아닌 대군이었고 게다가 세조가 능제간소화정책을 추진하던때라 덕종릉은 난간석, 망주석이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소혜왕후릉은 남편이 덕종으로 추존된 뒤 조성되었으므로 왕릉의 예를 따라 왕비의 릉이 왕의 릉보다 훨씬 화려한 것이라고 합니다.

 

창릉은 조선 8대 예종과 계비 안순왕후 한씨의 능입니다. 석물의 배치는 여느 능제와 같이 국조오례의에 따라 조성했는데, 고석에 고리모양을 세기고 팔각장명등의 지붕돌 상륜부에 있는 연잎 등 개성있는 조각미가 보입니다. 예종은 경릉에 있는 덕종의 동생인데, 형이 죽은 뒤 세자가 되어 1468년 9월에 왕위를 물려받았는데 14개월만에 사망하였습니다.

 

익릉은 19대 숙종의 정비인 인경왕후의 능입니다.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하여 홍살문에서 시작되는 참도가 큰 계단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익릉의 특징은 숙종의 능제 간소화정책이 내려지기 전 무덤이면서 임진왜란 이후의 변형된 양식을 취하고 있는 것입니다. 장대한 석물과 팔각장명 등은 그 특징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명릉은 19대 숙종과 계비 인현왕후, 2계비 인원왕후의 능입니다. 원래 인원왕후는 명릉에서 400여 보 떨어진 언덕에 자신의 자리를 잡아두었는데 영조가 현재의 위치에 능을 썼다고 합니다.

 

홍릉은 정성왕후 서씨의 능입니다. 영조는 그녀를 무척 좋아했는데 생전에 옆자리에 누울 예정으로 자신이 안치될 정혈에 십자를 새긴 돌을 묻어두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손자인 정조는 구리시의 동구릉에 있는 원릉에 할아버지를 묻었고, 그래서 정성왕후 서씨의 오른편은 영영 비어있게 되었다고 합니다.

 

고양시 홈페이지 내용을 발췌한 것으로, 더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반응형

롯데호텔제주에서 미리 가을을 만나는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가을 단어를 넣은 문장을 완성해서 댓글로 남기면 완성~!!

 

이벤트응모하러 고고고~~~

 

 

 

지금, 롯데호텔제주에서
아름다운 가을 제주에서 진정한 쉼을 선사하는
다양한 가을 패키지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번 롯데호텔제주 블로그 8월 초대 이벤트에서
미리 가을을 만나는 이벤트를 준비했는데요.
본격적인 이벤트 참여에 앞서 잠시, 눈을 감고
[가을] 그리고 [쉼] 단어를 떠올려 보시길 바랍니다.
그리곤 두개의 단어를 넣은 문장을 완성해 주세요.

감성적인 글귀도 좋고, 
이 가을, 롯데호텔제주에서 쉬고 싶은 이유를
적어 주셔도 좋아요. :-)

롯데호텔제주 블로그와 이웃 맺기는 필수!
'가을'과 '쉼' 두 단어를 넣은 문장과
이벤트 스크랩 URL을 덧글에 남겨주세요.

기품있는 제주의 가을과 여유로운 쉼을 동시에 누리는
롯데호텔제주의 '가을, 쉼을 그리다 패키지'를
체험할 기회를 드립니다.

더불어 해당 패키지에 당첨된 고객에게는
'골드라이닝 에디션 펜'을 특별 증정합니다.
롯데호텔제주에서 가을의 쉼을 기록해 보세요. :-)

 

 

· 이벤트 기간 : 8/6 (월) - 8/20 (월)
· 당첨자 발표 : 8/24 (금)
· 참여 방법 : 이웃맺기 > '가을'과 '쉼' 단어를 넣은 문장 &
스크랩 URL 덧글에 남기기
· 체험 기간 : 9/17 (월) - 9/19 (수)
※ 당첨될 경우, 3주 이내 본인 SNS에 후기 작성 (블로그 후기 작성 必)
· 이벤트 경품 : 가을, 쉼을 그리다 패키지 (2명) &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10명)

 

반응형
반응형

고양시는 경기도의 북서쪽에 위치하여 남동으로 서울과 접하고, 북동으로 양주시, 북서로 파주시, 남서로는 한강을 끼고 김포시와 인접해 있습니다. 지리적 위치를 살펴보면 동쪽 끝은 덕양구 효자동, 서쪽 끝은 일산서구 구산동, 남쪽 끝은 덕양구 덕은동, 북쪽 끝은 덕양구 벽제동으로 2017년 12월 31일 기준으로 인구는 408,816세대 1,041,983명입니다.

 

고양시의 역사를 살펴보면 구석기시대, 신석기시대, 청동기 시대, 삼국~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현대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습니다.

 

구석기시대로, 옛송포면 일산읍지역에서 찍개, 끌개, 몸돌 등의 설기류가 발견되어 적어도 5만년 이전부터 고양시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신촌초등학교 지역, 성저마을과 같은 일산신도시 지역에서 토기 및 4천 4백 60년전 것으로 판정된 볍씨, 나무 열매 등과 같은 신석기 시대 농경 생활 및 자연환경을 알 수 있는 유뭉리 출토되기도 하였습니다. 또한 청동기 시대의 유적이 곡릉천, 창릉천, 원당천, 장진천 등 하천에 따라 펼쳐진 언덕진 곳에서 발견이 되고 있으며, 문봉리, 화정리 지역의 지석묘군, 성사리출토 동모용범편 등이 있다고 합니다.

고양지역이 선사시대에 이러 역사무대에 기록되기 시작한 것은 백제가 한강 유역을 중심으로 고대 국가로 건국 성장하는 과정이었습니다. 서기 475년 고구려의 장수왕이 백제의 수도성을 함락시킨 이후 고양지역이 고구려 영토로 귀속되었고, 고구려는 고양지역 내에 달을성현과 개백현을 설치하였다고 합니다. 그 뒤 신라 진흥왕 16년에 북한산에 순수비를 세웠으며, 고양지역에서 북한산주를 설치하여 군사적 요지로 삼았다고 합니다. 또한 통일 신라시대에 고양지역은 한산주에 소속되었고 달을성현을 고봉으로 개백현을 우왕으로 개칭하였다고 합니다.

고려시대 태조 23년에 우왕현을 행주로 바꾸고, 별호로 덕양이란 명칭을 사용하였다고 합니다. 그리고 현종 9년에는 고봉현과 행주현 두 현을 양광도의 양주에 속현으로 예속시켰다고 합니다.

조선시대인 태조 3년에 고봉감무를 설치하고 부원현과 옛 일산읍 주엽리 일대인 향조향을 고봉현에 예속시키므로써 속현이 아닌 지방관이 파견되는 지위로 승격이 되었었다고 합니다. 태종 13년 현의 명칭을 고봉과 덕양 두현의 이름을 한 글자씩 따서 고양현이라 바꾸었고, 성종 원년에 현에서 군으로 숭격하였다고 합니다. 그러나 연산군 10년 지언, 이오을, 미장수 등이 국왕을 모독했다는 죄로 처벌당하면서 죄인이 살던 곳이라하여 혁파되었다고 합니다.

개항이후 현재까지의 고양은 근대적개혁의 일환으로 지방행정제도가 자주 변화하면서 고양군의 소속이 여러차례 바뀌었습니다. 1914년 고양군은 12개면(용강, 연희, 은평, 숭인, 독도, 한지, 벽제, 신도, 원당, 지도, 송포, 중면) 155개 리로 구성되었고, 고양군청은 지금은 충정로 1가로 이전하였다고 합니다. 1936년 용강면, 연희면, 한지면이 한성부로 편입되고 고양군청은 지금의 동대문 부근인 을지로 5가로 옮겨졌다고 합니다. 1945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서울시 행정구역 팽창에 따라 일부 면이 서울시에 편입되어 고양군은 원당, 백제, 신도, 지도, 송포, 중면의 6개면만 관할하게 되었습니다. 1961년 8월 군청을 서울시에서 원당면으로 옮겼고, 1970년대 말부터 1980년대 중반에 이르기까지 벽제, 지도, 화전, 일산, 원당이 읍으로 승격되었고 능곡, 원당, 일산을 중심으로 도시화작업이 이루어졌습니다. 이후 1989년 4월에 일산신도시 건설계획이 발표되면서 옛 일산읍 일산리, 마두리, 장항리, 백석리, 주엽리 일대에 560여 만평의 일산 신도시 건설이 시작되었고 이어 중산, 탄현, 성사, 화정, 능곡, 행신지구의 택지개발지구가 추가로 발표되면서 마침내 1992년 2월 고양시로 승격되었다고 합니다.

 

상기 내용은 고양시청 홈페이지 내용을 발췌한 것으로, 더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