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동북아시아에 길게 뻗은 한반도의 서부중앙지역으로 동경 126도와 127도, 북위 36도와 38도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면적은 전 국토의 10%를 차지하며 북쪽으로는 86km의 휴전선에 서쪽으로는 332km의 해안선에 접해있으며, 동쪽으로는 강원도, 남쪽으로는 충청도와 인접해 있고 그 중앙에는 서울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동쪽에서 서쪽으로 흐르는 한강에 의해 남,북지역으로 나뉘어져서 한수이북은 산간지역, 한수 이남지역은 평야지대가 펼쳐져 있습니다. 경기도의 땅 모양은 광주산맥과 차령산맥이 동쪽에서 뻗어와 차츰 낮아지는 모습이고 서쪽은 김포, 경기, 평택평야가 넓게 펼쳐져 있습니다. 그래서 예부터 동쪽땅이 높고 서쪽땅이 낮은땅(경동지형)이라 했다고 합니다.
경기도의 기후는 여름과 겨울의 기온차이가 심한 대륙성 기후로서 연평균 기온은 11~13도로서 북동부 산악지대가 낮고 남서쪽 해안지역이 약간 높습니다. 1월 평균기온은 경기만 일대가 영하 4도, 남한강 유역이 영하 4~6도이고 북한강과 임진강 유역이 영하 6~8도로 해안에서 내륙으로 갈수록 한랭하고 기온차가 커집니다. 여름은 겨울보다 지역차가 적으며 내륙지방이 경기만 일대보다 높아 가장 더운 곳은 평택으로 8월 평균기온이 26.5도라고 합니다.
연평균 강수량은 1,100mm 내외로 비의 양이 많다고 합니다. 북동부 내륙지방인 북한강 유역과 임진강 상류는 강수량이 1,300~1,400mm나 되지만 해안지방 강수량은 900mm 정도 된다고 합니다.
경기도의 지형은 대체로 추가령 구조곡을 경계로 북부산지와 남부산지로 나누어지는데, 북부는 중국 요동방향의 마식령산맥, 남부는 중국방향의 광주 산맥과 차령산맥이 각각 그 골간을 이루고 있으며, 서쪽 해안에 가까워질수록 고도가 낮아져 평야나 구릉성 산지로 바뀐다고 합니다.
경기도내에 분포하는 주요 산들은 광주산맥에 속하는데, 내륙쪽의 명지산, 국망봉, 광덕산, 용문산 등이 1,000m를 넘고, 도봉산, 관악산 등이 700m 내외의 고도를 가지며, 화강암지대에 발달된 이 산들은 화강암의 박리작용의 결과로 기암절벽이 많고 계곡이 깊어 예로부터 명산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산수도권지역에서 등산인들이 즐겨찾는 산으로는 포천시 일동면, 가평군 하면에 있는 청계산 849m, 동두천에 있는 소요산 587m, 가평균 설악면과 양평군 옥천면의 경계로 이루는 유명산 864m, 남양주시의 운길산 610m, 의정부시의 수락산 638m 등도 경관이 뛰어난 수도권 지역의 명산입니다.
주요 하천은 한강, 임진강, 안성천 등이며 대부분이 한강유역에 속한다고 합니다. 한강은 514km로 우리나라에서 네번째로 긴 강이며, 그 유역 면적은 압록강에 이어 전국 제 2위라고 합니다. 한강은 금강산 부근에서 발원하는 북한강 수계와 오대산 부근에서 발원하는 남한강 수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북한강은 소양강, 홍천강, 청평강 등의 지류를 합치면서 서남쪽으로 흐르다가 평창강, 옥동강, 달천, 청미천, 섬강, 복하천 등의 지류로 합쳐지며, 서북쪽으로 돌아 흘러오는 남한강과 양수리 근처에서 합류하여 한강의 본류를 이룬 뒤 강화도의 북쪽을 돌아 경기만으로 들어간다고 합니다.
임진강은 마식령산맥에서 발원하여 서남쪽으로 흐르다가 한탕강, 영평천, 사미천, 문산천 등의 지류를 모아 김포 부근에서 한강과 만납니다. 안성천은 길이 76km의 짧은 하천에 불과하지만 한천, 진위천 등과 합류하여 아산만으로 흘러 들어가면서 그 유역에 넓고 비옥한 안성평야를 발달시키고 있다고 합니다.
경기도청 홈페이지 내용을 발췌한 것으로, 더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정보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 여기저기 - 고양시 서오릉 소개 (0) | 2018.08.07 |
---|---|
대한민국 여기저기 - 고양시 소개 (0) | 2018.08.06 |
대한민국 여기저기 - 서울의 역사 4. 현대서울 (0) | 2018.08.04 |
대한민국 여기저기 - 서울의 역사 3. 근데서울 (0) | 2018.08.03 |
대한민국 여기저기 - 서울의 역사 2. 중세서울 (0) | 2018.08.01 |